[브랜드평판] 고용노동부 공공기관 브랜드 2025년 4월 빅데이터 분석결과...1위 한국산업인력공단, 2위 근로복지공단, 3위…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작성일 25-04-15 05:46본문
고용노동부 공공기관 브랜드평판 2025년 4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한국산업인력공단 2위 근로복지공단 3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고용노동부 공공기관 12개 브랜드에 대해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브랜드 평판조사를 실시하였다. 2025년 3월 15일부터 2025년 4월 15일까지의 고용노동부 공공기관 브랜드 빅데이터 34,045,257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평판을 분석하였다. 지난 3월 고용노동부 공공기관 브랜드 빅데이터 31,420,403개와 비교하면 8.35% 증가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이다.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끼리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커뮤니티 점유율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고용노동부 공공기관 브랜드평판 분석은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사회공헌지수로 구분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산출하였다.
2025년 4월 고용노동부 공공기관 브랜드평판 순위는 한국산업인력공단, 근로복지공단,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한국잡월드, 건설근로자공제회,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고용정보원, 한국고용노동교육원, 노사발전재단,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학교법인한국폴리텍 순이었다.
1위, 한국산업인력공단 브랜드는 참여지수 3,769,898 미디어지수 1,650,733 소통지수 1,419,063 커뮤니티지수 717,776 사회공헌지수 333,42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7,890,894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6,287,766과 비교해보면 25.50% 상승했다.
2위, 근로복지공단 브랜드는 참여지수 3,503,742 미디어지수 1,163,075 소통지수 1,452,736 커뮤니티지수 1,088,972 사회공헌지수 211,889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7,420,415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7,111,162와 비교해보면 4.35% 상승했다.
3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브랜드는 참여지수 832,319 미디어지수 817,954 소통지수 389,522 커뮤니티지수 465,267 사회공헌지수 561,98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067,044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3,229,061과 비교해보면 5.02% 하락했다.
4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브랜드는 참여지수 921,744 미디어지수 399,560 소통지수 706,569 커뮤니티지수 566,436 사회공헌지수 102,900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697,208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2,090,231과 비교해보면 29.04% 상승했다.
5위, 한국잡월드 브랜드는 참여지수 936,740 미디어지수 624,809 소통지수 746,925 커뮤니티지수 172,089 사회공헌지수 143,00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623,564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2,120,678과 비교해보면 23.71% 상승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25년 4월 고용노동부 공공기관 브랜드평판 결과, 한국산업인력공단 ( 대표 이우영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고용노동부 공공기관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3월 고용노동부 공공기관 브랜드 빅데이터 31,420,403개와 비교하면 8.35% 증가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4.50% 상승, 브랜드이슈 13.54% 상승, 브랜드소통 34.82% 상승, 브랜드확산 5.34% 하락, 브랜드공헌 3.07% 하락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 소장 구창환 ) 는 국내 브랜드의 평판지수를 매달 측정하여 브랜드 평판지수의 변화량을 발표하고 있다. 2025년 4월 고용노동부 공공기관 브랜드평판지수는 2025년 3월 15일부터 2025년 4월 15일까지의 12개 고용노동부 공공기관 브랜드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