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평판] 환경부 공공기관 브랜드 2025년 5월 빅데이터 분석결과...1위 한국수자원공사, 2위 한국환경공단, 3위 국립…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작성일 25-05-07 07:36본문
환경부 공공기관 브랜드평판 2025년 5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한국수자원공사 2위 한국환경공단 3위 국립공원공단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환경부 공공기관 11개 브랜드에 대해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브랜드 평판조사를 실시하였다. 2025년 4월 7일부터 2025년 5월 7일까지의 환경부 공공기관 브랜드 빅데이터 21,143,318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평판을 분석하였다. 지난 4월 환경부 공공기관 브랜드 빅데이터 26,336,323개와 비교하면 19.72% 줄어들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이다.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끼리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커뮤니티 점유율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환경부 공공기관 브랜드평판 분석은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사회공헌지수로 구분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산출하였다.
2025년 5월 환경부 공공기관 브랜드평판 순위는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 국립공원공단, 국립생태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보전협회, 한국상하수도협회,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순이었다.
1위, 한국수자원공사 브랜드는 참여지수 971,267 미디어지수 1,687,506 소통지수 1,312,395 커뮤니티지수 1,274,193 사회공헌지수 244,36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5,489,724로 분석됐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5,847,333과 비교해보면 6.12% 하락했다.
2위, 한국환경공단 브랜드는 참여지수 1,082,226 미디어지수 1,439,388 소통지수 861,245 커뮤니티지수 1,002,338 사회공헌지수 283,848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4,669,045로 분석됐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4,499,778과 비교해보면 3.76% 상승했다.
3위, 국립공원공단 브랜드는 참여지수 514,676 미디어지수 735,723 소통지수 1,300,732 커뮤니티지수 163,670 사회공헌지수 173,84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888,646으로 분석됐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5,331,832와 비교해보면 45.82% 하락했다.
4위, 국립생태원 브랜드는 참여지수 351,328 미디어지수 790,256 소통지수 545,734 커뮤니티지수 515,015 사회공헌지수 83,916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286,248로 분석됐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3,306,847과 비교해보면 30.86% 하락했다.
5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브랜드는 참여지수 394,649 미디어지수 543,515 소통지수 314,504 커뮤니티지수 568,567 사회공헌지수 170,72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991,958로 분석됐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2,379,449와 비교해보면 16.28% 하락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25년 5월 환경부 공공기관 브랜드평판 결과, 한국수자원공사 ( 대표 윤석대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환경부 공공기관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4월 환경부 공공기관 브랜드 빅데이터 26,336,323개와 비교하면 19.72% 줄어들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40.56% 하락, 브랜드이슈 15.54% 하락, 브랜드소통 16.16% 하락, 브랜드확산 2.48% 하락, 브랜드공헌 9.93% 상승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 소장 구창환 ) 는 국내 브랜드의 평판지수를 매달 측정하여 브랜드 평판지수의 변화량을 발표하고 있다. 2025년 5월 환경부 공공기관 브랜드평판지수는 2025년 4월 7일부터 2025년 5월 7일까지의 11개 환경부 공공기관 브랜드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